<br /> 국회가 4일 본회의를 열어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을 통과시키자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사당 정문 앞에서 군·경찰과 대치하던 시민들은 환호했다. <br /> <br /> 이날 오전 1시 1분쯤 결의안 통과 소식이 전해지자 시민들은 손뼉을 치고 부부젤라를 불었다. 시민들은 폐쇄된 국회 정문을 향해 "문 열어", "당장 나와" 등을 외치기도 했다. <br /> <br /> 계엄군은 1시 30분쯤 국회5·6문을 통해 철수를 시작했다. 시민들이 길을 터주면서 별다른 충돌은 일어나지 않았다. 이 과정에서 일부 시민은 애국가를 불렀다. <br /> <br /> 군은 걸어서 국회 인근 한강 둔치 주차장으로 이동해 군용 버스에 탑승했다. 이어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통과된 지 2시간 30분 만인 오전 3시 30분쯤 주차장에서 철수했다. <br /> <br /> 군 버스들이 대기하는 사이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군이 다시 국회에 진입할 수 있다는 지라시가 퍼지면서 운집한 시민들은 국회를 떠나지 않았다. <br /> <br /> 앞서 일부 계엄군 차량이 국회를 빠져나와 주차장으로 향하는 도중 이를 막아선 시민과 제지하는 경찰이 뒤엉켜 혼란이 빚어지기도 했다. <br /> <br /> 경찰은 이날 국회 인근에 4000명의 시민이 모였다고 비공식 추산했다. 군중 사이에선 민주노총, 금속노조, 공공운수노조, 용산촛불행동 등의 깃발도 보였다. <br /> <br /> 연단에 오른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이날 오전 8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대통령 퇴진 시까지 무기한 총파업에 나서겠다고 밝혔다. 이날 오전 9시부터 광화문에서 윤 대통령 퇴진 집회도 열겠다고 했다. <br /> <br /><br />김지혜 기자 kim.jihye6@joongang.co.kr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297126?cloc=dailymotion</a>